회차 | 일자 | 프로그램 | 연사 | 주제 |
---|---|---|---|---|
53 | 4.10(토) | 기억, 미래로 향하는 통로 | 장동선 뇌과학박사 | 어떠한 시간이 뇌 안에 기억으로 남는가 |
신혜란 서울대 교수 | 기억이 만들어낸 공간, 공간을 통해 살아있는 기억 | |||
김찬용 전시해설가 | 현대미술이 기억을 표현하는 방법 | |||
구범진 서울대 교수 | 호란의 기억: 삼전도비 이야기 | |||
54 | 6.5(토) | 융합, 경계를 허문 사람들 | 장대익 서울대 교수 | 제4차 학습 혁명이 온다 |
나은영 서강대 교수 | 세 학문의 징검다리를 넘어: 영문학, 심리학, 커뮤니케이션학 | |||
김상균 강원대 교수 | 게임인류, 게임 지능으로 도전하라 | |||
유지원 디자이너 | 글자 너머로 보는 인간과 사회, 과학과 기술 | |||
55 | 9.11(토) |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, 커뮤니티 | 박한선 신경인류학자 | 커뮤니티의 진화: 축복 혹은 재앙 |
송의영 서강대 교수 | 세계경제의 통합: 성과와 갈등 | |||
강윤희 서울대 교수 | 언어를 통해 본 커뮤니티와 정체성 | |||
김승주 고려대 교수 | 세계는 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열광하는가? | |||
56 | 10.23(토) | 미래공간: 상상이 현실로 | 강예린 서울대 교수 | 건축의 항해 |
이경수 서울대 교수 | 자율주행자동차와 스마트모빌리티 | |||
임동근 한국교원대 연구원 | 미래도시를 상상하다 | |||
하정화 서울대 교수 | 3cm의 장벽을 넘어 모두의 공간으로 | |||
57 | 11.13(토) | 난제와 딜레마 | 최병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| 협상가는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까? |
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| 인간, 수학, 컴퓨터 | |||
은유 작가 | 보다 먼 이웃을 사랑하는 법 – ‘있지만 없는 아이들’을 중심으로 | |||
김현섭 서울대 교수 | 낙태는 그른가? 죄인가? |